기사제목 강인수의 문학산책 #65 그래도/강인수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강인수의 문학산책 #65 그래도/강인수

기사입력 2025.02.20 16:48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그래도....

 

글,사진 : 강인수 

 

우리 아파트 주차장에는 나를 따르는 길고양이 한 마리가 산다. 그 영민한 동물은 어찌 된 일인지 내 발소리를 듣고는 멀리서도 뛰어와 내 발치에 앉아 야옹야옹 시끄럽게 애정을 갈구한다. 줄 것이 없어 미안한 마음에 황급히 집으로 달려가 한 줌 사료를 들고 나오면, 녀석은 여전히 그 자리에 앉아 나를 기다리고 있다.

 

비가 조금씩 흩뿌리기 시작하는 어느 날도, 고양이는 나무의 작은 구멍 아래 숨어 있다가 우산을 들고 걷는 내 발등 위로 다가와 반가움을 표시했다. 내가 반가운 것인지, 잊지 않고 들고 온 간식이 반가운 것인지 모르겠지만, 배불리 먹은 뒤 눈인사를 한 번 하고는 총총히 사라진다. 오늘은 외면하리라 마음먹었더라도, 열렬히 간구하는 눈빛을 마주하면 사람의 마음이란 약해지기 마련이다.

 

요즘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명예와 체면이란 참 별것 아니다. 고대광실에서 배부르게 살다가 초가삼간으로 옮길 수도 있고, 반지하에서 빛을 보지 못하다가도 어느 날 꼭대기 층에서 원 없이 볕을 쬘 수도 있는 것이 인생이다. 현실이 녹록지 않더라도 끊임없이 바라며 나아가면 결국 그 방향으로 가게 된다. 영원할 것 같은 평안도 재난을 만나면 한순간에 날아갈 수 있는 것 또한 그러하다.

 

살면서 공포에 가까운 사건이 터지면, 차라리 솔직하게 나의 형편을 털어놓고 도움을 청하는 것이 어떨까? 상대방의 사정을 고려해야겠지만, 명예와 체면 때문에 속앓이만 하기보다는 한 번쯤 용기를 내 보는 것도 방법이다. 어디선가 슈퍼맨처럼 도움을 줄 사람이 나타날 수도 있지 않은가.

 

반갑게 나를 따르던 고양이는 요즘 목에 방울을 달았다. 누군가 정기적으로 보살피는 모양이다. 고양이처럼 딱한 사정을 잘 표현하면 누군가의 긍휼한 마음을 받을 수도 있으리라.

 

요즘 뉴스를 보면 많은 이들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온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모두 불완전한 존재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그래도 살아야 한다.

 

어제 이 시인의 시를 읽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런 마음을 가지고 살아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고양이 300.jpg

 

 

그래도라는 섬이 있다

                              김승희
가장 낮은 곳에
젖은 낙엽보다 더 낮은 곳에
그래도 라는 섬이 있다
그래도 살아가는 사람들
그래도 사랑의 불을 꺼뜨리지 않는 사람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섬, 그래도,
어떤 일이 있더라도
목숨을 끊지 말고 살아야 한다고
천사 같은 김종삼,박재삼,
그런 착한 마음을 버려선 못쓴다고

부도가 나서 길거리로 쫓겨나고
인기 여배우가 골방에서 목을 매고
뇌출혈로 쓰러져
말 한마디 못해도 가족을 만나면 반가운 마음속
중환자실 환자 옆에서도
힘을 내어 웃으며 살아가는 가족들의 마음속

그런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 그래도
그런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 그래도
그 가장 아름다운 것 속에
더 아름다운 피 묻은 이름,
그 가장 서러운 것 속에 더 타오르는 찬란한 꿈

누구나 다 그런 섬에 살면서도
세상의 어느 지도에도 알려지지 않은 섬,
그래서 더 신비한 섬,
그래서 더 가꾸고 싶은 섬 그래도,
그대 가슴 속의 따스한 미소와 장밋빛 체온
 이글이글 사랑에 눈이 부신 영광의 함성
그래도라는 섬에서그래도 부둥켜안고
그래도 손만 놓지 않는다면
언젠가 강을 다 건너 빛의 뗏목에 올라서리라,
어디엔가 걱정 근심 다 내려놓은 평화로운
그래도, 거기에서 만날 수 있으리라         

-김승희 시산문집, <그래도라는 섬이 있다>(마음산책,2007)



강인수 

 시인. 한양여대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였고, 2022년 계간<문장>에 시 ‘부재 중’이 신인상으로 당선되었다. 당선작의 제목에서 오랜 기간 자신을 돌아보고자 하는 마음이 전해진다. 1999년 자카르타로 이주했으며 현재는 한국문협 인니지부 재무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데일리인도네시아]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www.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