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물품 탓 섬유·도자기·가전 업계 대규모 감원 및 폐업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가 중국산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를 최대 200%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이해관계자들이 반발하자, 당국이 중국산 제품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게 아니라고 진화에 나섰다.
7일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앞서 줄끼플리 하산 무역부 장관은 지난 6월 28일 미국 비롯한 서방 국가들이 중국산 제품의 수입을 규제하면서 중국 제품의 수출 판로가 막히면서 인도네시아에 중국산 제품이 밀려들어올 것에 대비해 최대 2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루훗 빤자히딴 해양투자조정장관은 지난 5일 중국 정부를 의식한 듯, 관세 200% 부과는 중국을 겨냥한 정책이 아니라,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 무역의 규정에 준해서 모든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 세이프가드(safeguard)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일축했다.
세이프가드는 수입상품이 급증할 경우, 수입국에서 관세를 인상하거나 수입량을 제한해 수입 물품에 대해 규제를 가는 조치를 말한다.
루훗 장관은 "우리는 중국 등 특정 국가를 타깃으로 하지 않는다. 모든 절차는 국익을 우선으로 한다"며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루훗 장관은 이어 중고 의류와 밀수입 제품들이 인도네시아로 들어오는 것을 철저하게 관리하라는 지시를 조코위 대통령으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인도네시아와 중국은 포괄·전략적 동반자관계(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존중과 신뢰를 지켜나가는 우방국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값싼 수입품으로 국내의 의류, 섬유, 신발, 화장품, 가전 및 도자기 등 자국 산업이 위협을 받는다며, 최대 200% 관세를 부과를 부과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으며 조만간 관세 규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노동조합연합(KSPN)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약 5만명 섬유업계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었다. 줄키플리 하산 무역장관은 지난 6일, 기간은 언급하지 않은 채 "36개 섬유업체가 문을 닫았고, 31개 도자기 업체가 일부 직원들을 해고했으며 일부 전자제품 업체가 폐업했다"고 말했다.
중앙통계청(BPS)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대중국 무역적자가 지난 5월에 13억 달러로 전월 5억 달러 보다 3배가량이 증가했다. [데일리인도네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