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강인수의 문학산책 #32 초상, 제주/ 김동환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강인수의 문학산책 #32 초상, 제주/ 김동환

기사입력 2024.05.31 21:58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초상, 제주.

 

                                           김동환 

 

1.

섬 동백이 쓰리도록 붉은 이유는

무자년* 바람이 건천乾川에 흐름이라. 

 

태왁*을 어깨에 인 늙은 해녀

고향으로 고향으로 몸을 뻗어보지만, 

긴 세월 지켜선 한라의 삼백 오름은

끝내 굽은 허리를 놓아주지 않고. 

 

진바다 향해 터트린 눈물 같은 꽃잎

건천에 달리는 테우*는 구슬프게 만선이라. 


2.

만선의 깃발을 잃어버린 여정에는 나침반이 필요하다. 

 

강제로 공양하듯 세 손가락 공장에 던져두고

소주잔에 눈물을 보시하던 아비는

심장박동기의 흰 선으로 숨 가쁘게 점멸되다

그대로 직선이 되어 강가에 쏟아져 내렸다

펜을 잡는 것이 좋았다지만 남겨놓은 기록도 없이. 

 

어미는 칠칠일이 지나도 내려가지 못하는

무명의 머리핀이 무거웠는지 서러웠는지

더는 고개를 젖혀 하늘을 보지 않았다. 

 

유난히도 배고팠던 그해 겨울

홀로 칼바람을 견뎌내던 소년은

살도 뼈도 발라내진 비어버린 밥주머니 하나 들고

적도의 구름 따라 간다했다

빨갱이라 불렸던 사내와 입꼬리가 닮아서

떠나야만 산다고 가장 뜨거운 곳으로. 

 

풍어를 위한 미끼는 붉게 버무린 소태로 충분하다.


3.

소년의 키 만큼은 예전 아비보다 커져 어른이라 불렸고

곁에 누운 아이는 '안녕'이란 말을 모른 채

누군가를 닮은 손가락을 꼼짓거리며

피부 검은 제 엄마의 가슴에 젖감질을 하는

건기의 적도는 낯설도록 황홀하다

통화 속 건조하게 전해진 무자년 유공자有功者라는 단어처럼

 

호흡기를 뗀 바람이 우기의 적도로 향한다

어미의 머리에 있던 아비의 흔적은

다른 이름으로 아내의 머리 위로 기어오르고

빗줄기의 황홀한 곽란에 정신을 잃을 무렵

모르게 새 나오는 신음 사이로 들려오는 익숙한 숨소리

 

흔들리는 입꼬리는 이름을 삼키며 태평양으로 번진다.

 

 

*무자년 1947년, 제주 4.3 사건이 벌어진 해. 

*태왁: 해녀가 자맥질을 할 때 가슴에 받쳐 몸을 뜨게 하는 뒤웅박. 

*테우: 제주 전통 통나무 배.

 


김동환 300.jpg
김동환 시인

 

 

*시 읽기

김동환 선생님은 작년에 적도 문학상 장려상을 받으시고 올해 서정문학 신인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제주 출신인 시인은 제주의 역사적 아픔을 시인만의 언어로 뼈저리게 잘 표현하였습니다. 작년에 미리 슬쩍 봤던 저로서는 제주 4, 3 이야기의 가슴 찡한 면이 상당히 기억에 남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인니 문인협회의 실력자로서 승승장구하시길 바라며 다시 한번 함께 시를 읊조려봅니다.


*강인수 

시인. 한양여대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하였고, 2022년 계간<문장>에 시 ‘부재 중’이 신인상으로 당선되었다. 당선작의 제목에서 오랜 기간 자신을 돌아보고자 하는 마음이 전해진다. 1999년 자카르타로 이주했으며 현재는 한국문협 인니지부 재무국장과 우리시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www.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