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미래를 위한 과거의 서술: 양승윤 교수님의 『한국사: 한반도의 시시각각』 리뷰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미래를 위한 과거의 서술: 양승윤 교수님의 『한국사: 한반도의 시시각각』 리뷰

기사입력 2024.02.23 14:51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Sejarah Korea2.png
인도네시아어로 된 한국사 책 『한국사: 시대를 거치는 한반도』 


 

글: 아리(Dewa Ngakan Ari Putra Taman Bali. 국립인도네시아대학교 한국학과 학생) 

 

역사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우리는 시간을 거슬러 문명을 이해하고, 역사라는 직물을 짜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을 만나게 된다. 양승윤 교수의 저서 『한국사: 시대를 거치는 한반도』는 이러한 모든 측면을 세심하고 설득력 있는 방식으로 독자들에게 제시한다.

 

저자인 양승윤교수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경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가자마다대학교에서의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계를 오랜 기간 연구해왔다. 저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 역사 전체를 심도있게 분석하면서도 이를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서사로 풀어내며, 특히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긴밀한 상호관계에서의 한국의 영향력을 조명한다. 

 

『한국사: 한반도의 시시각각』은 '한국사를 읽기 전에'와 '한국인의 이름을 알자' 라는 독특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이는 독자들에게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는 동시에, 저자의 성숙한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한국의 역사적 서사에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한다.

 

책은 『한국사의 시작과 삼국』에서부터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와 "제국주의 시대의 한국", "1910~1945년 한국의 식민지화",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설명한다. 각 장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문화, 정치, 사회적 역학을 통찰력 있는 분석을 통해 탐구한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는 "조선에 대한 식민주의 실천과 자유를 위한 인민의 투쟁"이 추가로 수록되어있다. 이 부분은 식민주의의 영향과 한국인의 자유를 위한 투쟁에 대해 더 넓은 관점에서 논의하며, 역사적 사건들이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양승윤 교수의 『한국사: 한반도의 시시각각』은 단순히 사건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과거가 현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넓은 맥락에서 해석하고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국의 풍부한 역사와 전통이 어떻게 국가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형성해왔는지, 그리고 어떤 획기적인 변화를 겪으며 현재의 모습으로 이어져 왔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끝] 

 

아리 300 0.jpg
아리(Dewa Ngakan Ari Putra Taman Bali. 국립인도네시아대학교 한국학과 학생)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www.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