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청 설립 희망 지역은 '서울'…재외동포단체 70%가 선호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청 설립 희망 지역은 '서울'…재외동포단체 70%가 선호

기사입력 2023.03.27 10:41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인천시 "재외동포청 소재지 여론조사 인정 못 해…의견 누락"

유럽한인회, '재외동포청 소재지 서울 적합' 설문조사 결과 반발

'재외동포청 제주 서귀포 사수 범도민운동본부' 출범


732만 재외동포 정책을 총괄하는 정부 조직으로 재외동포청 탄생이 눈앞에 다가온 가운데, 재외동포재단이 실시한 재외동포청 소재지 관련 여론조사에 인천과 유럽한인회 등이 반발했다고, 26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재외동포재단은 재외동포단체장 2천467명을 대상으로 재외동포청 소재지 관련 여론조사를 진행한 뒤 지난 23일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응답자의 70%(1천736명)는 서울을, 14%(356명)는 인천을, 10%(236명)는 경기를 각각 택했다.

재외동포재단은 지난 20일부터 사흘간 카카오톡과 위챗, 라인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한인회, 한상(韓商), 한글학교 등 재외동포단체장 2천467명을 대상으로 한 기명 여론조사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재외동포청 설립 

앞서 한국 국회는 2023년 2월 27일 본회의를 열어 재적 272명 중에 찬성 266명으로 외교부 산하에 동포청이 신설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이르면 6월 초에는 동포청이 공식 출범하게 된다.

개정안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서 정식으로 공포되면 3개월 안에 재외동포재단을 폐지하고 동포청을 신설할 것을 명기하고 있다.

동포청 설립은 동포사회의 숙원이었다. 전 세계 한인회 등 한인 단체들은 그동안 재외동포 정책 수립과 권익 신장을 위한 정부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고 모국 정부에 줄기찬 건의를 해왔다.

현재 재외동포 업무는 관계 부처와 동포재단 등에서 나눠서 하고 있는데 동포청 신설로 지원정책 기능을 강화하고 관계 부처 협업을 통한 영사·법무·병무·교육 등 원스톱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동포재단의 기존 사업인 재외동포·단체 교류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차세대 동포교육, 문화홍보사업 등은 동포청에서 승계해서 수행하게 될 전망이다.

외교부는 현재 제주도에 위치한 재외동포재단의 해산, 인력 채용, 청사 마련 작업 등을 마무리하는 대로 상반기에 재외동포청을 출범시킬 계획이며 소재지로 인천과 서울 등지를 최종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자치단체들, 재외동포청 유치 경쟁 

동포청이 어느 지역에 들어서게 될지도 동포사회의 큰 관심사다

인천, 광주, 제주 등 국내 지방자치단체들이 재외동포청 유치를 위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정책에 따라 재외동포재단은 2018년 7월에 제주도로 이전했다.

당시 동포사회 단체장들은 재단 방문을 위해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한 번 더 갈아타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다며 제주 이전을 반대했었다.

인천은 관내에 인천국제공항이 있어 입출국 시 편리한 점을 장점으로 부각하고 있으며, 광주는 국내 고려인 최대 집거지인 고려인마을이 자리한 점 등 이주민 포용에서 앞서고 있는 것을 강조한다.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중국 동포 등 외국인 비중이 높은 경기도 안산시가 유일하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인천시, 재외동포재단 여론조사 결과에 반발 

인천시는 23일 공식입장을 통해 "재외동포재단이 공표한 여론조사 결과는 732만 재외동포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대표성 있는 조사 결과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재외동포청 인천 설치를 지지하는 유럽한인총연합회(유럽총연)는 유럽 26개국, 90여 개 한인회가 소속된 단체임에도 해당 조사에서 배제되는 등 인천을 지지하는 다수의 재외동포 의견이 누락됐다"고 덧붙였다.

인천시는 "해당 조사는 명확한 선정기준 없이 732만 재외동포의 0.03%에 불과한 2천467명만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3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특정 매체만을 활용해 실시됐다는 점에서 대표성과 공신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유럽한인회, '서울 적합' 설문조사 결과에 반발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유럽총연은 지난 24일 시에 전달한 성명서에서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재외동포청을 유치하려는 각 도시의 제안이나 정책에 대한 안내가 없었다"며 "단체별로 설문 결과를 취합하고 대표자가 숫자를 보고하는 형식을 취해 설문조사의 기본요건도 갖추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유럽총연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3월 2차례에 걸쳐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공식 지지한 단체다.

이 단체는 "재외동포청의 위치는 기관을 유치하려는 도시가 재외 교포들에게 어떤 정책과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지 살펴서 결정해야 한다"며 "재외동포청이 외교부에 속한 한 부서에 불과하다는 인식과 행정편의주의에 따라 동포사회가 분열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제주 서귀포시, 현 재외동포청 유치 범도민 운동 전개 

올해 상반기 신설되는 재외동포청을 현재 재외동포재단이 있는 제주 서귀포시에 유치하기 위한 범도민 운동이 전개된다.

22일 '재외동포청 제주 서귀포 사수 범도민운동본부'에 따르면 전날 서귀포시 제주21세기한중국제교류협회에서 운동본부 출범식을 갖고 활동에 들어갔다.

운동본부에는 제주국제협의회, 제주21세기한중국제교류협회 등 서귀포와 제주시 50여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운동본부는 앞으로 재외동포청을 서귀포에 유치하기 위한 대대적 서명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온오프라인을 통해 도민, 재외도민, 지역 균형발전을 지지하는 국민, 나아가 재외동포들까지 참여하는 범국민운동으로 발전시켜나가기로 했다.

운동본부는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로 재외동포들이 민원 서비스를 제공받고 꿈을 키워가기 위한 최적지이며, 국제공항과 크루즈항이 있고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 재외동포들의 접근성과 편리성이 뛰어나다"며 재외동포청이 제주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 재외동포재단이 서귀포에 있기 때문에 재외동포청을 타 지자체에 설치하는 것은 명분이 없다"며 "재외동포청을 타 지자체에 빼앗기는 것은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수치이자 도민 자존심이 짓밟히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데일리인도네시아 & www.dailyindonesia.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